사자성어 고사성어
감탄고토(甘呑苦吐) 뜻과 유래, 예문 | 뜻 좋은 사자성어, 고사성어
세상 뭐 있나
2025. 1. 30. 14:41
감탄고토의 뜻
‘감탄고토’는 ‘단 것은 삼키고 쓴 것은 뱉는다’는 뜻으로, 자기에게 유리한 것만 취하고 불리한 것은 외면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. 이는 신의가 없거나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가리킬 때 흔히 쓰입니다.
감탄고토의 유래
이 사자성어는 중국 고전에서 유래되었습니다. 예로부터 신하가 군주에게 충성을 다하다가도 자신의 이익이 걸려 있을 때는 등을 돌리는 사례가 많았습니다. 이러한 행동을 두고 ‘감탄고토’라는 표현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.
이는 인간의 본성 중 하나를 지적하는 표현으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, 사람의 태도와 도덕성에 대한 경계심을 일깨우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.
감탄고토의 활용
이 표현은 주로 신의가 없거나 이기적인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평소에는 친한 척하다가 필요가 없어지면 관계를 끊는 사람이나, 좋은 조건일 때만 참여하고 불리하면 떠나는 행동을 가리킬 때 씁니다.
감탄고토 예문
- 그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언제든지 태도를 바꾸는 감탄고토하는 사람이다.
- 평소에는 친한 척하다가 필요가 없어지니 떠나버리는 모습은 전형적인 감탄고토의 사례다.
- 국민을 위한다던 정치인이 선거 후에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감탄고토라 할 수 있다.
- 그의 감탄고토하는 태도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점점 그를 멀리했다.
뜻 좋은 사자성어 추천
- 토사구팽(兎死狗烹): 토끼를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, 필요할 때 이용하고 나면 버리는 태도를 의미.
- 배은망덕(背恩忘德): 받은 은혜를 저버리고 은혜를 잊어버리는 태도.
- 신상필벌(信賞必罰): 상과 벌을 반드시 공정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의미.
- 일장춘몽(一場春夢): 한바탕 봄날의 꿈처럼 헛된 일이나 허망한 삶을 의미.
감탄고토의 현대적 의미
오늘날에도 감탄고토의 의미는 유효합니다. 기업에서 직원들을 이용하다가 필요 없어지면 해고하는 행태, 정치인이 선거 때만 국민을 위하는 듯 행동하는 모습 등은 모두 이 표현에 해당됩니다.
사람들 간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. 진정한 인간관계는 이해관계를 넘어서는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며, 필요할 때만 이용하는 태도는 결국 신뢰를 잃게 만듭니다. 따라서 감탄고토와 같은 기회주의적인 태도는 지양해야 할 행동입니다.